본문 바로가기
임상연구기본

대조군 여부에 따른 관찰연구의 분류: 분석연구(Analytical study) vs 기술연구(Description study)

by 미미밍- 2024. 1. 9.

 

앞서 설명한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는 다양한 형태로 다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찰연구의 비교/대조군 여부에 따른 분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연구(Analytical study)

분석연구는 비교/대조군이 있는 연구를 말한다. 분석연구는 시간의 선후 관계에 따라 다시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1) 코호트연구(cohort study)

현재 어떤 요인에 따라 대상자를 일정기간 추적 관찰하여 결과와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

예시) 현재 흡연 여부에 따라 대상자를 일정기간 추적 관찰하여 폐암과의 인과관계를 밝힘.

 

2) 사례-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

현재 질병 여부에 따라 과거력을 확인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예시) 현재 폐암 여부에 따라 과거 흡연력을 확인하여 인과관계를 밝힘.

 

3) 단면연구(cross sectional study)

현재 시점에서 원인과 질병 여부를 동시에 확인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로

짧은 기간에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지만 노출과 결과간에 시간적인 관련성을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움.

예시) 현재 흡연 여부와 폐암 여부를 동시에 확인해 관련성을 확인함.

 

 

기술연구(Descriptive study)

해당 분류는 사례연구(Case report) 또는 사례군연구(Case-series report)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시)1930년부터 1989년까지 미국에서 암종별 사망률을 제시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증가추세에 있고,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줌

 

출처: 임상시험길잡이(보건복지부,2005)

file:///C:/Users/1-23-117/Downloads/200513%20%EC%96%91%EC%84%B1%EA%B5%90%EC%9C%A1%20%EA%B5%90%EC%9E%AC%20%20%EC%B5%9C%EC%A2%8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