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얘기9

CRA 면접예상질문 모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CRO 두 곳에서 직접 받은 질문을 토대로 CRA 면접 예상질문에 대하여 다뤄볼 예정이다. (CRC 면접 예상질문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였으니 이전 포스팅 참고!) 그럼 시작!! \\(۶•̀ᴗ•́)۶//// ​ 1. 이력서에 기재한 경력사항을 토대로 자기소개(한글&영어 모두 1분정도 준비) 2. CRC에서 CRA로의 이직사유 3. 본인이 담당했던 과제 질문 꼬리질문3-1. Audit 경험이 있는 지? 꼬리질문3-1-1. Audit 경험이 있다면 해당 Audit에서 확인되 Deviation은 무엇이었고 이에 대한 CAPA(Corrective Action & Preventive Action)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꼬리질문3-2. 본인이 담당했던 과제 중 하나를 담당SC에게 설명한다.. 2024. 3. 1.
CRC 면접예상질문 모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에 내가 BIG 5 대학병원 중 두 곳에서 직접 받은 질문을 토대로 연구간호사(CRC) 면접 예상질문에 대하여 다뤄볼 예정이다. 그럼 시작!! \\(۶•̀ᴗ•́)۶//// ​ 1. 이력서에 기재한 경력사항을 토대로 자기소개(1분정도 준비) 꼬리질문1-1. 경력이 짧을 경우: 경력이 왜 이렇게 짧은 것인 지? 꼬리질문1-2. 나이가 많을 경우: 나이가 있는데 어떤 사유로 지원하게 되었는지? 꼬리질문1-3. 퇴사 후 공백기가 있을 경우: 일을 그만두고 빈 시간동안 무엇을 했는 지? 2. 이전 직장에서 퇴사한 사유와 연구간호사로 이직을 결심하게 된 이유는? 3. 연구간호사(CRC)가 하는 업무에 대하여 설명해보라. 4. 업무 특성 상 4대보험이 되지 않는데 알고 있는 지? 5. 병원 근무.. 2024. 3. 1.
CRA의 어려움 1 오늘은 CRA 직무를 경험해보며 느낀 어려움에 대해 처음으로 끄적여보고자 한다. 우선 나의 경력에 대해 짧게 말하자면 수도권종합병원 간담췌암센터 병동 간호사 2년 9개월 근무, 소위 BIG5로 불리는 모 병원의 종양내과 연구간호사(CRC) 1년 11개월 근무, 현재 국내CRO에서 monitoring CRA로 근무중이다. 이전에 병동간호사&연구간호사로 일할 때와 지금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업무의 주된 목표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병원의 궁극적인 존재 이유이자 목표는 환자안전과 건강유지라면 회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윤추구이다. 물론 임상시험을 다루는 회사인 만큼 환자 안전에 관한 부분도 물론 굉장히 중요하지만 회사의 최종적인 목표는 모든 일련의 과정을 통한 이윤추구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회사에 오면 나의.. 2024. 2. 27.
재택근무 가능한 간호사가 있다? 나는 대학을 선택할 때,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취업이 잘되는 과라는 생각에 간호학과에 온 1인이다. 큰 기대 없이 간호사로 일해보니 생각보다 환자들과 소통하는 것도 좋았고, 내가 의료진 중 한 사람으로서 인정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며 뿌듯하고 보람찼던 기억이 있다. 삼교대는 나의 건강을 갈아 넣는 일 그러나 삼교대라는 업무의 특성상 나를 포함한 많은 간호사들이 건강의 한계를 느끼며 퇴사했다. 나의 경우에는 밤낮이 바뀌면서 생활패턴이 망가져 살이 찌고, 햇빛을 못 보는 날이 많아져 우울감이 지속되었으며, 워낙 조그마한 일에도 긴장을 많이 하는 성격인데, 병원 특성상 응급상황까지 자주 터지니 긴장도는 점점 올라가고 실수라도 하면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생각해 스트레스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렇다 보니.. 2024. 1. 10.
코어팀(Core team)과 데디팀(Dedi team)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Global CRO의 채용공고를 보면 간혹 코어팀이나 데디팀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나의 경우에도 두 직무의 차이에 대해 정확히 기재되어있지 않아 고민했던 기억이 있다. 아래 가능한 이해하기 쉽도록 기재하였으니 참고하시길! ​ 코어팀(Core team) 코어(Core)는 아마 CRO회사 자체를 뜻하는 듯하다. 대부분 회사 내규가 업무 상 우선순위가 되며, 의뢰사 제한 없이 다양한 연구를 맡아 진행하게 된다. 장점으로는, 사내에 IRB업무를 대신 시행해주는 부서가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회사 내규가 우선이 되다보니 모니터링 횟수나 출근 횟수 등 정해진 SOP 안에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데디팀(Dedi team, Dedicated team) Dedicated(헌신적인)라는 뜻에 걸맞게 내.. 2024. 1. 9.
CRC vs CRA 어떤 것을 선택할까? 먼저 임상연구 분야로 이직을 생각한다면 CRC로 시작해야 할지 CRA로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CRA로 목표를 정하고 있더라도 CRC를 먼저 시작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 직접 Site의 상황을 겪어보자 CRA 업무를 시작하기 전 Site(병원)의 상황을 경험해보는 것과 경험해보지 않는 것은 천지차이기 때문! 만약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한 경력이 있어 병원이 어떻게 굴러가는 지 잘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연구와 관련된 업무는 그 외적으로도 더욱더 신경 쓸 것이 많다. Sponsor/CRO/연구진들과 커뮤니케이션이 굉장히 중요하고, 방식 또한 다양하기 때문이다. ​ 예를 들어, 교수님이 새로 개시한 과제의 환자 등록 가능 현황에 대해 보고해달라고 요청하셨을 경우, 1. 언제까지 확인이.. 2024.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