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얘기9 임상시험종사자교육에 대하여 임상연구로 이직하는 데 또 하나의 문턱이 있는데 바로 이수해야 할 교육이 산더미라는 것. 도대체 종사자교육은 어디서 얼마나 들어야 할 지 아주 고민이 되었던 기억이 있다. 과거의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어디서 들어야 할까? 교육 실시기관은 아래 링크에 들어가 보면 직무 별로 친절히 안내되어 있다. http://www.clinicaltrialedu.com/invoke/company/company 임상시험교육포털 www.clinicaltrialedu.com 얼마나 들어야 할까? - 11개월 미만 근무할 경우, 연간이수시간을 월할계산할 수 있다. - 근무개시일 또는 근무종료일이 속한 달은 실제로 근무한 일수와 상관없이 월할계산 시에 1개월로 산입 한다. - 월할계산한 이수시간 .. 2024. 1. 4. 임상연구에 관심이 가기 시작할 때 앞서 말했듯이, 병동에 다닐 때 탈임상을 꿈꾸며 3년 가까이 보내면서 여러 가지 대안을 고민했다. 공기업도 알아보고 산업간호사도 알아보며 필요한 자격증도 공부하긴 했지만 뭔가 확신이 들지 않았다. 그러다 문득 암환자를 보던 경력을 살려 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고, 그 생각 하나로 임상연구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암환자 위주로 3년 가까이 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나름 Oncology(종양학) 부분에서는 조금은 자신이 있기도 했다. 그치만 지금 생각해 보면, 아무것도 모르는 정말이지 무지한 상태였다. 나의 경우에는 다행히 같이 일하던 연구간호사 선생님들께서 꼼꼼히 알려주셔서 큰 실수는 면했지만, 누군가 임상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이직을 생각하고 있다면 꼭 이 글을 읽고 .. 2024. 1. 3. 탈임상만 바라보고 살던 간호사 시절 우선 간략하게 나의 경력에 대해 말하자면 아래와 같다. 대학을 졸업하자 마자 수도권 종합병원의 간담췌암병동에서 간호사로 2년 9개월 근무하였고, 이후 빅 5 병원 종양내과 CRC로 1년 11개월, 그리고 현재 CRA로 일하고 있다. 먼저 첫 번째 직장이었던 병원 생활에 대해 말하자면 한 마디로, 머릿속에 탈임상만 가득했다고 할 수 있다. 이직에 대한 계기가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으로! https://cra-diary.tistory.com/10 재택근무 가능한 간호사가 있다? 나는 대학을 선택할 때,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취업이 잘되는 과라는 생각에 간호학과에 온 1인이다. 큰 기대 없이 간호사로 일해보니 생각보다 환자들과 소통하는 것도 좋았고, 내가 의료진 중 cra-diary.tistory.com.. 2024. 1.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