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로 이직하는 데 또 하나의 문턱이 있는데 바로 이수해야 할 교육이 산더미라는 것.
도대체 종사자교육은 어디서 얼마나 들어야 할 지 아주 고민이 되었던 기억이 있다.
과거의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어디서 들어야 할까?
교육 실시기관은 아래 링크에 들어가 보면 직무 별로 친절히 안내되어 있다.
임상시험교육포털
www.clinicaltrialedu.com
얼마나 들어야 할까?

- 11개월 미만 근무할 경우, 연간이수시간을 월할계산할 수 있다.
- 근무개시일 또는 근무종료일이 속한 달은 실제로 근무한 일수와 상관없이 월할계산 시에 1개월로 산입 한다.
- 월할계산한 이수시간 중 1시간 미만의 시간은 1시간으로 본다.
- 예외적으로 신규자 교육 중 우선교육시간(20시간)은 월할계산하지 않는다.
만약, 신입 CRA라면 업무를 시작하기 전(연구에 참여하기 전)까지 20시간(우선교육시간) 이상 신규자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하고 당해 안에 총 40시간을 이수하여야 한다.
심화 교육과정으로 24시간, 그다음 해부터는 매년 보수교육과정으로 8시간 이수가 필요하다.
신규자 교육과정을 이수할 때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은 GCP(Good Clinical Practice)가 포함된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교육과정 중 GCP가 포함되어 있는지 꼭 확인하고, 기재되어있지 않다면 전화로 문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GCP는 보통 2년 내에 이수한 것만 인정되기 때문에 최소한 2년에 한 번은 GCP가 포함된 교육 이수가 필요하다.
임상시험종사자교육에 대해 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아래 문서를 참고하길 :)
[임상시험 종사자 교육 관련 질의응답집]
2019.04 식약처 발표
Document Viewer
www.mfds.go.kr
'이런저런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택근무 가능한 간호사가 있다? (1) | 2024.01.10 |
---|---|
코어팀(Core team)과 데디팀(Dedi team)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0) | 2024.01.09 |
CRC vs CRA 어떤 것을 선택할까? (1) | 2024.01.04 |
임상연구에 관심이 가기 시작할 때 (0) | 2024.01.03 |
탈임상만 바라보고 살던 간호사 시절 (0) | 2024.01.03 |